
5장. 시스템에 생명을 불어넣는 게임 규칙 게임이 의도대로 작동하려면 게임 규칙이 필요하다. 게임 규칙은 크게 유저 시나리오 규칙과 인지요소 규칙으로 나뉜다. 유저 시나리오 규칙은 재미와 편의성이, 인지요소 규칙은 논리적 완성도가 중요 규칙은 관여하는 영역이 큰 규칙부터 작성하는 것이 좋으며, 규칙들 간의 관계를 생각하며 작성하여 완성도를 높인다. 규칙을 작성할 때는 일반화와 추상화를 통해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다. 규칙의 검토와 수정 과정에서 해당 규칙으로 처리할 수 없는 특별한 경우 예외 규칙과 세부 규칙을 작성 유저 시나리오 규칙은 게임 진행에 대한 규칙으로, 유저가 게임을 즐기는 실제 게임 내용과 관련이 있다. 유저 시나리오 규칙을 작성할 때는 게임을 변화시키는 조건과 결과에 주목하고 간결하게..

6장.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스템도 게임 시스템이다. 게임의 규모가 크고 관리해야 할 콘텐츠들이 많아지면, 이들을 관리할 콘텐츠 시스템이 필요하다. 콘텐츠 시스템은 기능이나 동작과는 상관없는 기획 콘텐츠의 제작과 관리만을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콘텐츠 시스템이 다루는 기획 콘텐츠란, 기획 설정을 위한 데이터들을 말하며 이 기획이 콘텐츠 시스템 기획 작업 중 가장 중요하다. 콘텐츠 시스템은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콘텐츠를 식별자와 데이터로 구성해 다룬다. 식별자는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해 비슷한 성질의 콘텐츠들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한다. 콘텐츠 데이터는 식별자로 구분되는 콘텐츠 객체의 모든 내용을 말하며, 다루기 쉽도록 간결하게 작성한다. 1. 콘텐츠 시스템의 정의 기능이나 동작과..
7장. 데이터가 시스템을 움직인다. 게임 데이터는 게임을 조정하는 인터페이스이며, 데이터의 주 사용자를 고려하면 시스템 기획자가 데이터 설계에 적합할 수 있다. 게임 시스템의 데이터는 크게 시스템 조정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로 나뉜다. 시스템 조정 데이터는 의도한 대로 시스템이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시스템 조정 데이터를 설계할 때는 직관성과 편의성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시스템의 어떤 규칙과 인지요소와 연관되어 동작하는지를 정리해야 한다.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제작과 관리를 위해 고안된 데이터이며, 대량의 콘텐츠들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콘텐츠 데이터를 설계할 때는 데이터의 형태와 크기가 중요하며, 다양한 정리 방법을 사용해 데이터 조작 편의성을 올릴 수 있다. 데이터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매일일상
- 블록체인
- g304
- 전기면도기
- 저지르다
- NFT
- 일상적 글쓰기
- 수집형 게임
- 인생목표
- vba
- P2E
- 별똥별
- 글감
- 웃는 모습
- 약사의혼잣말
- 아름답다.
- 폼팁
- 구글 홈 네스트
- 에어팟프로
- 깨우치다.
- 회사생활
- 제네바 스피커
- 최애의 아이
- 김실장
- 담아두다
- 마땅함
- 게이미피케이션
- 플레이투언
- 구글 홈 미니
- 일상적글쓰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