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나중에 기억하기 위해 정리하는 포스팅
<게임 기획자와 시스템 기획 - 심재근>
4장. 시스템의 부품, 인지요소 명세
<요약>
- 인지요소는 규칙을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의 구성요소
- 인지요소 명세를 위해서는 시스템 기능들로부터 하향식으로 인지요소들을 열거해야 하며, 기능의 동작과 기능을 통해 구현되는 콘텐츠를 정리해보는 것이 좋다.
- 인지요소의 열거가 끝나면 계층 구조 등을 이용해서 인지요소들 간의 관계를 정리해 구조화한다.
- 인지요소에 대해 상세 명세를 할 때는 '개념'과 '동작원리', '데이터'에 대해 정리한다.
- 인지요소 명세를 할 때, 다이어그램 등의 시각 자료를 같이 이용하는 것이 좋다.
1. 인지요소의 열거
> 필요 기능과 필요 내용
> 인지요소들을 계층 구조로 정리
2. 인지요소의 상세 명세
> 인지요소의 개념: 인지요소의 정의와 설명 (예: 지능은 캐릭터가 똑똑한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이다.)
> 개념이 복잡하다면 세분화하여 설명.
3. 인지요소의 동작원리
> 인지요소가 게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 개발자가 시스템을 구현할 때 실질적으로 참고하는 내용.
4. 인지요소의 데이터
> 인지요소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기획.
5. 콘텐츠 제작을 위한 인지요소 명세
> 인지요소 하나가 아닌 시스템 전체를 고려한 데이터 설명이 반드시 포함
> 정리할 내용
> 데이터가 게임에서 어떻게 동작할지 (인지요소의 개념과 동작원리 = 내용)
> 기획자가 데이터에 바라는 것들을 모아놓은 것 (특징)
> 예) 캐릭터 이름 = 인지요소 데이터 / '문자열 데이터이고, 한글 10자, 영문 20자를 넘지 않는다.' = 데이터의 특징
민첩성 |
내용 |
개념 |
|
동작원리 |
|
데이터 |
|
<복잡한 인지요소 구조를 위한 예>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글감
- 수집형 게임
- 웃는 모습
- NFT
- 회사생활
- 폼팁
- 저지르다
- 에어팟프로
- 블록체인
- 제네바 스피커
- 아름답다.
- P2E
- 구글 홈 미니
- 담아두다
- 플레이투언
- 마땅함
- g304
- 깨우치다.
- 약사의혼잣말
- 일상적 글쓰기
- 게이미피케이션
- 인생목표
- 최애의 아이
- 구글 홈 네스트
- 일상적글쓰기
- 별똥별
- vba
- 전기면도기
- 김실장
- 매일일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