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기획자와 시스템 기획> - 3
6장.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스템도 게임 시스템이다.
<요약>
- 게임의 규모가 크고 관리해야 할 콘텐츠들이 많아지면, 이들을 관리할 콘텐츠 시스템이 필요하다.
- 콘텐츠 시스템은 기능이나 동작과는 상관없는 기획 콘텐츠의 제작과 관리만을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 콘텐츠 시스템이 다루는 기획 콘텐츠란, 기획 설정을 위한 데이터들을 말하며 이 기획이 콘텐츠 시스템 기획 작업 중 가장 중요하다.
- 콘텐츠 시스템은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콘텐츠를 식별자와 데이터로 구성해 다룬다.
- 식별자는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해 비슷한 성질의 콘텐츠들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한다.
- 콘텐츠 데이터는 식별자로 구분되는 콘텐츠 객체의 모든 내용을 말하며, 다루기 쉽도록 간결하게 작성한다.
1. 콘텐츠 시스템의 정의
- 기능이나 동작과 상관없는, 기획 콘텐츠의 제작과 관리만을 위한 시스템
시스템 |
콘텐츠 |
챔피언을 만들기 위한 시스템 |
챔피언 시스템을 이용해 만들어낸 챔피언 객체 중 하나 |
애니메이션, 이펙트, 사운드, 모델링 등 | <LOL>의 챔피언들 |
2. 기획 콘텐츠
> 구성 요소
> 콘텐츠 시스템 = 기획 설정을 위한 데이터에 한정
> 예) 장비의 구성 요소 중 옵션에 해당
3. 콘텐츠 시스템 기획
> 기획의 시작 → 방향성 결정 → 핵심 콘텐츠의 결정
> 콘텐츠 시스템이 필요한 콘텐츠의 기준
-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조정한다.
- 콘텐츠의 양이 많거나 복잡하다.
<예: 플랫폼 액션 게임의 핵심 콘텐츠>
플랫폼 액션 게임의 핵심 콘텐츠 |
콘텐츠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선택된 기능들 |
캐릭터 / 플랫폼 / 도구 / 장애물 |
레벨(맵) / 장비 아이템 / 사용 아이템 / 몬스터 |
> 콘텐츠 시스템을 결정한 이후에는 시스템이 다루는 대상인 콘텐츠에 대한 기획이 필요
>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식별자'와 '데이터'로 구성
> 식별자 = 콘텐츠 객체 하나하나를 구분하기 위한 이름표
> 데이터 = 그 식별자로 구분되는 콘텐츠 객체의 내용
예) 주민등록번호: 콘텐츠 = 국민, 식별자 = 주민번호, 데이터 = 이름, 거주지
4. 콘텐츠 식별자 기획
> 수 많은 데이터들 중 원하는 대상을 빠르게 찾기 위한 방법
> 식별자의 숫자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
예) 주민등록번호
XX: 생년 / XX: 월 / XX: 일 / X: 성별 / XXXX: 최초 등록 지역번호 / X: 일련번호 / X: 검증번호
예) <메이플 스토리>의 캐릭터 스킬 식별자
직업 식별자 4자리 / 액티브, 패시브 구분자 / 특별 구분자 / 일련 번호
> 식별자 기획 가이드
1) 식별자의 자릿수에 의미를 부여할 때는 숫자만 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구분자를 사용할 때는 큰 자릿수부터 할당하고, 큰 개념이나 중요한 개념을 더 큰 자릿수에 할당한다.
3) 하나의 구분자보다는 촘촘하게 자릿수를 할당한다.
4) 아무 의미 없는 일련번호는 가장 낮은 자릿수에 할당한다.
5) 아무런 의미 없는 자릿수를 가장 큰 자릿수 쪽에 남겨서 확장에 대비한다.
5. 콘텐츠 식별자 적용
> 엄격한 적용 VS 느슨한 적용
> 엄격한 적용
1) 실수나 검증 등을 자동으로 할 수 있음
2) 자릿수에 기획된 의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음 (액티브/패시브를 식별자에서 구분하기에 별도의 데이터가 없음)
3) 식별자를 통해 좀 더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음 (예: 남/여 식별자를 통해 만들어진 아이템의 DB 조회 시)
4) 게임 수명이 길어지면서 식별자가 모자라는 경우 수정이 매우 힘듬
> 느슨한 적용
1) 식별자의 확장성이 좋음
2) 식별자의 판단을 기획자가 하면서 예외의 규칙이 적용되어 어지러울 수 있음
3) 관리 비용이 비쌈
6. 콘텐츠 데이터 기획
> 콘텐츠 데이터 = 식별자로 구분되는 콘텐츠 객체의 '모든' 내용
예) 'TRPG'에서 사용되는 '캐릭터 시트'
> 데이터 = 각각의 콘텐츠 객체들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것들만 포함
> 모든 콘텐츠 객체들이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면 콘텐츠에 그 수치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는게 좋음